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훈련도감의 규모 및 구성
    Note 2019. 7. 27. 11:01

    왜구들을 상대하기 위한 절강병법의 원앙진. 훈련도감 창설에 영향을 미친다.

    1594년 당시 1,000여 명으로 편성된 훈련도감의 규모는 한동안 변하지 않았다. 이는 기본적으로 절강병법에 따라 조선군을 편성, 훈련시키기 위한 시범적 형태의 임시 군영으로 설립됐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중 훈련도감의 군사들은 지방의 군사들을 <기효신서>에 따라 편성하고 훈련시키기 위해 남쪽 지방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훈련도감 군사들의 지방 파견은 도성인 한성을 방어하는 군사가 부족한 상태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되었다. 특히 1597년 말 정유재란이 발발하여 일본군의 선발대가 경기도 남쪽까지 진격하자 한성의 방어 문제가 매우 심각해졌다. 이에 훈련도감의 병력 증가와 한성 방어의 핵심 군영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그 이전인 1595년 6월, 훈련도감의 규모가 커지자 한강 서안의 방어를 위한 새로운 군영으로 훈련도감에 준한 군영인 훈련분도감의 창설이 시도되기도 했다. 훈련도감의 역할이 국왕 호위에서 나아가 도성 방위를 전담하는 군영으로 확대됐을 뿐만 아니라, 지방군에 대한 훈련을 담당하는 중요한 군영이 되었다. 나아가 조선 전기 국방체제인 5위 체제를 훈련도감이 대신하는 것을 고려하는 정도에 이르게 됐다.

     

    1596년에는 기존 훈련도감의 군사들을 각각 당시의 초관(哨官)에 따라 전, 좌, 중 3영에 나누어 예속시키고 후, 우 2영은 훈련도감의 군사 모집을 기다려서 확대 편성하도록 했다. 전쟁 중에는 재정의 어려움으로 군사 모집이 잘 이뤄지지 못했으나, 정유재란의 발발로 훈련도감의 중요성이 확인되며 1598년 7월에는 2,000여 명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선조 말인 17세기 초반까지 훈련도감에는 삼수병 기본 병종 이외에 교사대, 별무사, 아동대라는 새로운 병종도 창설됐다. 교사대(敎師隊)는 지방군의 훈련을 담당하는 병종으로 새롭게 도입한 포술과 전술을 교육하기 위해 무예가 우수한 도감군을 편성해 전국 각지에 파견했다.

     

    별무사(別武士)는 보병 중심의 훈련도감에서 편성된 마병이고, 아동대(兒童隊)는 나이 어린 도감군을 중심으로 편성해 중국이나 일본의 검법을 익히게 한 병종이었다.

     

    선조 말 훈련도감은 점차 조직이 확대돼, 훈련대장과 중군, 천총 아래 전, 후, 좌, 우, 중의 5개 사가 있었고, 각 사에는 전, 후, 좌, 우, 중의 5개 초가 있었다. 이 외에도 기병으로 이뤄진 것으로 짐작되는 좌, 우 별초가 있어 모두 27개 초로 구성됐다. 또한 좌, 우 교사대도 있었다.

     

    절강병법의 보급과 훈련이 주된 임무였던 훈련도감은 이제 국왕의 시위와 도성 방어 임무를 담당하게 됐다. 평상시 훈련도감군은 국왕이 궁궐 내를 거동할 때 측근에서 그 호위 임무를 담당했고, 국왕이 거처하는 궁궐의 문을 지키면서 잡인의 출입을 금지했다. 약간 후대의 일이지만 1633년, 인조 11년에는 국왕이 창덕궁에 거처하던 때, 파총 1인과 초관 3인이 거느린 도감군 300명이 건양문(建陽), 영강문(永康), 금호문(金虎)에 각각 100명씩 숙직하면서 궁궐을 호위했다. 이밖에도 국왕이 사신 영접, 능행, 온천 행차 등으로 궁궐 밖으로 거동할 때 국왕의 행렬을 전후좌우에서 호위했다.

     

    도성 방위 임무의 경우 임진왜란 이전까지는 5위 체제에 따라 지방에 거주하는 갑사(甲士)와 정병(正兵)들이 한성에 번상(番上)해 담당했다. 16세기 들어 갑사는 점차 소멸돼 갔고 정병들도 상당 수는 군포를 내고 번상을 면하거나 각종 요역을 담당하는 역군으로 변질됐다.

© plisilla